2025년 하반기부터 금융당국이 ‘스트레스 DSR 3단계’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‘스트레스 DSR’? ‘3단계’? 이름부터 어려운데요. 이 제도가 도입되면 내가 받을 수 있는 대출 한도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것, 이것만큼은 꼭 기억해두셔야 합니다.
이 글에서는 스트레스 DSR이 뭔지, 왜 도입되는지, 그리고 내 대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✅ 먼저, DSR이 뭔가요?
DSR(Debt Service Ratio)는 ‘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’이라는 긴 이름을 줄인 말입니다.
간단히 말해,
내가 1년 동안 갚아야 할 모든 대출의 원리금 합계가 내 연소득의 몇 %인지를 나타내는 비율이에요.
예를 들어, 연소득이 5,000만 원이고 주택담보대출·신용대출 등으로 1년 동안 갚아야 할 돈이 2,000만 원이라면 DSR은 40%입니다. 현재 은행에서는 DSR 40% 이내로만 대출이 가능합니다. (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은 50%)
🔄 그런데 ‘스트레스 DSR’은 또 뭐죠?
‘스트레스 DSR’은 금리가 오를 걸 대비해서,
대출 심사할 때 실제 금리보다 더 높은 가상의 금리를 적용해 DSR을 계산하는 방식이에요.
예를 들어, 현재 대출 금리가 4%라면 심사할 때는 일부러 5.5%처럼 1.5%를 더 높게 가정해서 계산합니다.
왜 이렇게 하느냐면, 지금은 금리가 낮아도 나중에 오르면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으니까 미리 리스크를 반영하자는 취지입니다.
📌 ‘스트레스 DSR 3단계’란 무엇인가요?
정부는 스트레스 DSR도 1단계 → 2단계 → 3단계로 나눠 점진적으로 도입하고 있어요.
단계 | 적용 시기 | 스트레스 금리 가산폭 |
---|---|---|
1단계 | 2023년 | 0.38%p |
2단계 | 2024년 | 수도권 1.2%p, 지방 0.75%p |
3단계 | 2025년 하반기 예정 | 전국 1.5%p 일괄 적용 |
2025년 하반기부터 시행될 3단계에서는
모든 주택담보대출·신용대출 심사 시 실제 금리보다 1.5%를 더해서 계산합니다.
즉, 대출 심사 기준이 훨씬 더 보수적으로 바뀌는 것이죠.
📉 대출 한도가 얼마나 줄어들까요?
예를 들어볼게요.
연봉 6,000만 원인 사람이, 금리 4% 기준으로 30년 만기 주담대를 받는다고 하면…
-
✅ 기존 DSR 기준: 약 4억 8천만 원까지 대출 가능
-
❌ 스트레스 DSR 3단계 적용: 약 4억 2천만 원 수준
→ 대출 한도가 6천만 원 이상 줄어듭니다.
연봉이 낮거나, 금리가 더 높다면 줄어드는 금액은 더 커질 수 있어요.
🧭 왜 이런 제도를 도입하나요?
정부는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어나는 걸 막기 위해
✔ 대출 가능한 사람의 범위를 제한(DST 3단계),
✔ 대출 받을 수 있는 금액의 기준도 보수적으로 조정(스트레스 DSR 도입)해왔어요.
특히 요즘처럼 금리가 변동이 심한 시기에는, 대출받을 때는 괜찮아 보여도 나중에 상환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.
⚖️ 나에게 불리한 것만은 아닐까?
맞습니다. 대출을 받으려는 입장에서는 당연히 불리해집니다.
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리스크를 줄여주고, 무리한 대출로 인한 부채 문제를 막는 데 도움이 돼요.
또 정부는 청년층의 장래소득 반영, 40년 장기 모기지 같은 보완책도 함께 추진하고 있으니, 너무 좌절할 필요는 없습니다.
🔚 마무리: 나의 준비는?
-
📝 대출을 고민 중이라면 2025년 하반기 전까지 실행을 고려해보세요.
-
📊 DSR 계산기를 활용해 미리 시뮬레이션해보는 것도 추천합니다.
-
🧑💼 대출 한도가 애매하다면, 중도상환 계획이나 만기 설정을 재조정하는 것도 방법입니다.
최신 관련 글:
- 국민의 힘 김문수 후보의 대선 공약
- 곧 시행될 스트레스 DSR 3단계, 내 대출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?
- 관세란 무엇인가요? 우리 생활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?
- ChatGPT 모델 이름, 왜 이렇게 복잡할까? GPT-4o, GPT-4-turbo, GPT-3.5의 차이
- VIX지수란? 공포지수를 이용한 투자 방법 총정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