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면 중 코골이나 자주 깨는 증상이 있다면, 혹시 수면무호흡증이 아닐까 걱정해보신 적 있으신가요? 수면무호흡증 여부를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이 바로 AHI 지수입니다. 오늘은 AHI 지수가 무엇인지, 어떻게 해석하는지 쉽게 알려드릴게요.
✅ AHI 지수란?
AHI(Apnea-Hypopnea Index)는 한 시간 동안 수면 중 무호흡(apnea)과 저호흡(hypopnea)이 몇 번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예를 들어, 6시간 동안 수면하면서 총 60번의 무호흡/저호흡이 있었다면 AHI는 10이 됩니다.
🫁 무호흡과 저호흡의 차이
용어 | 정의 |
---|---|
무호흡(Apnea) | 최소 10초 이상 호흡이 완전히 멈춘 상태 |
저호흡(Hypopnea) | 최소 10초 이상 호흡량이 감소하면서 산소포화도가 떨어진 상태 (보통 30% 이상 감소 + 산소포화도 3~4% 이상 하락) |
이 두 가지가 AHI를 구성합니다.
📊 AHI 수치 해석
AHI 수치는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를 판단하는 핵심 기준입니다.
AHI 수치 | 수면무호흡증의 정도 |
---|---|
0–4 | 정상 |
5–14 | 경증 (Mild) |
15–29 | 중등도 (Moderate) |
30 이상 | 중증 (Severe) |
예를 들어, AHI가 20이라면 1시간에 20번 호흡이상 사건이 발생한 것이고, 이는 중등도 수면무호흡증으로 분류됩니다.
💥 왜 AHI가 중요한가요?
AHI 수치가 높다는 것은 수면 중 뇌와 몸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. 장기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요:
-
만성 피로
-
집중력 저하, 기억력 감퇴
-
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
-
당뇨병, 비만
-
뇌졸중 및 치매 위험 증가
🛌 AHI를 측정하려면?
AHI는 병원에서 시행하는 수면다원검사(Polysomnography, PSG)를 통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. 최근에는 가정용 간이검사 키트도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.
🌟 마무리하며
“코를 곤다고 다 같은 게 아니다”는 말이 있습니다. 단순한 코골이인지, 심각한 수면무호흡증인지 확인하려면 AHI 지수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.
혹시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:
-
자고 일어나도 피곤하다
-
자는 중에 숨이 막히는 느낌
-
심한 코골이
-
낮 동안 졸림과 집중력 저하
건강한 수면이 건강한 삶의 시작입니다. 오늘 밤도 편안한 숨, 깊은 잠 되세요. 😴
최신 관련 글:
- 대한민국에서 의사가 된다는 것: 일반의와 전문의, 그리고 그 차이
- 체중과 혈당을 함께 잡는 올리브오일 섭취법
- AHI 지수란? 수면무호흡증을 판별하는 핵심 지표!
- 음주 후 혈압약과 고지혈증약, 다음날 아침에도 먹어도 될까?
- 자녀 계좌 만들고 네이버페이•상품권 받는 방법